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희토류 시장동향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4-19
  • 출처 : KOTRA

중국 정부의 생산 총량 지표는 확대되고 있으나 증가폭은 둔화세

환경보호 및 자원 확보를 위해 중희토류 생산 통제

2023년 중국 희토류 수출량과 수입량 각각 7.3%, 44.8% 증가

세계 최대 회토류 부존 국가이자 최대 소비국인 중국은 희토류 산업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희토류를 전략적 자원으로 삼아 전반적인 산업체인 정비 및 공급 부문에 대한 통제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이에 중국의 희토류 수급동향, 수출입동향, 가격동향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공급동향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희토류 부존량은 11582만 톤이며, 그중 중국 부존량은 4400만 톤으로 전 세계 부존량의 38%를 차지한다. 중국, 베트남(2200만 톤, 19% 비중), 브라질(2100만 톤, 18%), 러시아(1200만 톤, 9%) 등 상위 4개국의 희토류 부존량은 전체 부존량의 84% 차지한다.

 

2023년 전 세계 희토류 광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6.7% 증가한 35만 톤을 기록했다.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의 생산량은 24만 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68%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4만3000톤, 12% 비중), 미얀마(3만8000톤, 11%), 호주(1만8000톤, 5%) 순이다. 최근 들어 미국, 호주가 희토류 산업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고 미얀마의 희토류 자원이 날로 고갈됨에 따라 미국과 호주의 희토류 광물 생산량 비중이 점 증가하고 있다.


<2023년 희토류 광물 부존량과 생산량>

external_image

[자료: 미국지질조사국(USGS), 둥관증권(东莞证券)]


채굴 및 제련 쿼터

 

중국은 환경보호 및 희토류 광산의 무분별한 개발을 통제하기 위해 국유기업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하고 공급보장 원칙에 따라 매년 희토류 채굴과 제련 쿼터를 발표하고 있으며총량을 주요 희토류 국유 기업에 할당하고 있다.


탄소중립 전환 및 산업고도화에 따른 희토류 수요 증가에 따라 중국 정부는 기존 연 2회 발표하던 관행과 달리 2023년에는 이례적으로 3차례 희토류 채굴 및 제련 쿼터를 발표했다. 2023(1,2,3) 희토류 채굴 쿼터 총량은 255000톤으로 2022(1, 2) 대비 21.4% 증가했으며 제련 총량은 243850톤으로 전년 대비 20.7% 증가했다

 

2024년 제1차 쿼터량은 보면 희토류 채굴 쿼터는 135000톤으로 전년 1차 대비 12.5% 증가했고 제련 쿼터는 127000톤으로 전년 1차 대비 10.4% 증가했다. 중국 정부의 생산 총량 지표는 확대되고 있으나 증가폭은 둔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주로 경희토 중심으로 채굴 쿼터가 증가하고 있고 환경보호 및 자원 확보를 위해 중희토류 생산은 통제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 희토류 채굴() 및 제련() 쿼터 현황>

(단위: 톤, %) 

external_image

[자료: 중국 공신부 자료 의거 베이징 무역관 정리]

 

희토류 국유기업의 통폐합을 통해 기업의 생산 집중도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현재 중국 희토류 산업은 중희토류 중심의 중국희토그룹과 경희토류 중심의 북방희토그룹 2강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중국 희토류 국유기업의 재편 동향>

 

- (2016년) 중국희토, 중국희유희토, 남방희토, 북방희토, 샤먼텅스텐, 광둥희토그룹 등 6개 국유기업으로 통폐합

- (2022년) 6개 국영기업 중 중국희토, 중국희유희토, 남방희토 등 3개 기업과 2개 연구기관을 인수합병하여 중국희토그룹을 설립하면서 중국희토그룹, 북방희토, 샤먼텅스텐, 광둥희토그룹 4대 체제 형성

- (2023년) 중국희토그룹이 샤먼텅스텐과 희토류 분리/제련 관련 협력계약 체결

- (2024년) 중국희토그룹이 광둥희토그룹을 인수하면서, 사실상 中 희토류 산업은 중국희토그룹(중희토류 중심)과 북방희토그룹(경희토류) 2강 체제로 재편


아울러, 20241차 채굴과 제련 쿼터는 중국희토그룹과 북방희토그룹에 각각 할당됐. 중국희토그룹에는 채굴 4만420(경희30,280, 중희토 10,140)과 제련 3만8990톤 할당, 북방희토그룹에는 채굴 9만4580(모두 경희토)과 제련 8만8010톤이 할당됐.

 

수요동향

 

미국지질조사국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희토류 소비량은 약 30만 톤이며, 그중 중국 희토류 소비량은 전 세계 소비량의 75%를 차지한다. 중국 희토류 소비는 주로 영구자석, 합금·기계, 반도체, 촉매, 유리 세라믹스, 형광재료,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원소별로는 영구자석, 반도체 및 유리 연마제, 자동차, 우주선 등에 활용되는 세륨(Ce), 란타넘(La), 네오디뮴(Nd) 등 소비량이 가장 많다.

 

2022년 중국 희토류 산업의 다운스트림 수요를 보면 영구자석 재료 활용 비중이 41%로 가장 많으며 이어 합금·기계가 13%, 석유·화학공업 9%, 유리 세라믹스 8% 비중을 차지했다.

 

<2022년 중국 희토류 산업 다운스트림 수요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둥관증권(东莞证券)]

 

희토류 영구자석은 신에너지차, 스마트폰, 로봇, 드론, 풍력발전 설비, 에너지절약형 가전제품, 에너지절약형 엘리베이터, 소비전자, 전동공구 등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 탄소중립 전환 실현 산업에 필수적인 소재이다. 중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및 친환경 제품 보급을 확대하면서 희토류 영구자석의 수요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주요 산업별 시장 현황>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 및 판매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WIND, 국가통계국,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중국 공업로봇 생산량 및 설치량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WIND, 국제로봇연합회]

<중국 풍력발전 설비 설치량(누적)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WIND, 국가에너지국]

 

<중국 가정용 에어컨 및 인버터 에어컨 판매량>

external_image

[자료: 둥관증권(东莞证券)]

 


수출동향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희토류 수출량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5만2307톤으로 2018년 이후 최고치 기록했으나 수출단가 인하로 수출액은 전년 대비 28.3% 감소한 7억6315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1-2월 누계기준, 희토류 수출량은 8774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했으며, 수출액은 8184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주*: 상기 희토류 수출통계는 중국 해관총서가 월별, 연도별 발표하는 통계수치이며 구체적인 HS CODE 분류는 명시하지 않음.


<중국 희토류 수출량() 및 수출액() 현황>
(단위: 톤, 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 WIND, 중국 해관총서]

 

주요 희토류 품목 수출을 보면, 희토금속광은 최근 몇 년간 수출실적이 ‘0’으로 나타났다. 2023년 희토류 영구자석 수출량은 전년 대비 1.0% 감소한 52576톤을 기록했다. 2023년 희토류 산화물 수출량은 8.3% 증가한 반면, 희토금속 및 관련 혼합물의 화합물 수출은 18.7% 감소했다.


<중국 희토류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

품목(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1~2

희토금속광

(25309020)

-

0.5

-

-

-

-

희토류 영구자석

(85051110)

35,270

35,955

48,602

53,108

52,576

8,587

희토류 산화물

(28469019)

6,467

5,058

6,398

4,081

4,421

702

희토금속 및 관련 혼합물의 화합물

(28469099)

1,074

268

295

246

200

30

[자료: 중국 해관총서]

 

주요 희토류 수출품목인 희토류 영구자석의 주요 수출대상국은 독일, 미국, 한국이다. 그중 최대 수출 대상국은 독일로, 2023년 수출비중은 16.7%를 기록했으며 최근 3년간 수출 비중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국은 중국 희토류 영구자석 수출시장의 상위 3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 중국의 한국 수출비중은 11.3%를 기록했다. 희토류 영구자석은 미래 친환경 모빌리티, 탄소중립 전환 실현 산업 등 첨단산업에 사용되는 소재로 주로 산업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 중심으로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

 

<중국의 희토류 영구자석(HS 85051110) 수출 현황>

(단위: 톤, %)

연번

국가/지역

수출량

시장점유율

2023/2022 증감률

2021

2022

2023

2024.1-2

2021

2022

2023

2024.1-2

1

독일

6,496

8,634

8,818

1,617

13.37

16.21

16.74

18.83

2.13

2

미국

6,657

6,367

7,341

1,112

13.70

11.95

13.93

12.94

15.30

3

한국

5,408

6,254

5,965

779

11.13

11.74

11.32

9.07

-4.62

4

베트남

3,802

3,967

3,417

646

7.82

7.45

6.48

7.52

-13.88

5

프랑스

1,050

1,280

3,091

219

2.16

2.40

5.87

2.55

141.59

6

폴란드

1,722

2,562

2,464

376

3.54

4.81

4.68

4.38

-3.82

7

이탈리아

2,858

2,928

2,325

396

5.88

5.50

4.41

4.61

-20.59

8

인도

969

1,466

1,911

405

1.99

2.75

3.63

4.72

30.39

9

일본

1,575

1,861

1,844

279

3.24

3.49

3.50

2.62

-0.90

10

대만

2,461

2,238

1,579

225

5.06

4.20

3.00

2.55

-29.44

*주: 순위는 2023년도 기준

[자료: GTA]

 

수입동향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희토류 수입량은 17만5853톤으로 전년 대비 44.8%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21억8555만 달러로 전년 대비 33.2% 증가했다. 2024년 1-2월 누적 기준, 중국의 춘절연휴 효과로 인해 수출량과 수출액은 각각 18.6%, 41.6% 감소했다.

    주*: 상기 희토류 수입통계는 중국 해관총서가 월별·연도별 발표하는 통계수치이며, 구체적인 HS CODE 분류는 명시하지 않음.


<중국 희토류 수입량() 및 수출액() 현황>

(단위: 톤, 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 WIND, 중국 해관총서]

 

희토류 주요 품목별 수입을 보면, 2023년 중국의 희토류 산화물, 혼합 탄산희토, 희토금속 및 관련 혼합물의 화합물 수입량은 각각 208%, 849%, 155% 증가하며 신장세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희토 영구자석 수입량은 전년 대비 7.4% 감소했다.

 

<중국 희토류 주요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

품목(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1-2

희토금속광

(25309020)

46,700

71,803

75,671

76,751

66,364

7,605

희토류 산화물

(28469019)

17,253

19,383

22,628

14,254

43,906

6,966

혼합 탄산희토

(28469048)

15,565

8,714

4,087

1,593

15,125

1,658

희토금속 및 관련 혼합물의 화합물

(28469099)

2,586

12,579

16,020

17,243

43,960

3,663

희토류 영구자석

(85051110)

1,921

2,012

2,132

2,058

1,865

225

[자료: 중국 해관총서, WIND]

 

중국의 희토금속광 수입량의 99%는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3미국 수입량은 66249톤으로 전체 수입량 100% 가까이 차지했다. 2023년 희토류 산화물 희토금속 및 관련 혼합물 화합물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얀마로 각각 99% 이상의 수입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격동향

 

중국의 희토류 수입 가격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출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2년간 대체적으로 수출 가격은 수입 가격보다 높은 현상을 보였으며, 2023년 하반기부터 여러 차례 수출 가격이 수입 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내 희토류가격지수는 20222월 전기차 호황 등 요인으로 역대 최고치인 431을 기록한 후 지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재편, 다운스트림 수요 부진 등이 희토류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희토류 월별 수출입 평균가격()과 중국 희토류가격지수()>

external_image

[자료: WIND]

 

전망 및 시사점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채굴에서 분리, 정제 등 단계별 가공 공정과 고부가가치 소재·부품의 생산능력 등 전 분야에 대한 완전한 산업망을 구축했으며 글로벌 희토류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산업의 녹색화·디지털화 추세로 글로벌 희토류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희토류 관련 업계 관계자는 KOTRA 베이징 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희토류의 공급보장을 위해 채굴·제련 쿼터를 합리적으로 배분할 것이나 향후 총량 지표는 큰 폭으로 확대되기는 , 2024 산업의 공급과잉 현상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고 밝혔다.

 

중국은 희토류 산업망·공급망을 보호하기 위해 희토류 채굴, 제련 기술의 수출 ’, 희토류 일부 품목을 수출보고 대상 에너지자원 품목리스트에 포함하는 등 희토류 자원의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수출 통제, 수출 제한과 같은 정책과 시장에 대한 상시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둥관증권(东莞证券), WIND,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중국 해관총서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희토류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